본문 바로가기
2020년 9월 추천도서 언컨택트 = Uncontact : 더 많은 연결을 위한 새로운 시대 진화 코드 / 김용섭 지음 [책 소개] 불편한 소통보다‘편리한 단절’을 꿈꾸는 현대인의 욕망, 라이프스타일의 거대한 진화는 이미 시작됐다! 접촉 불안이 가져온 일상의 대전환기! 불안과 위험의 시대를 건너는 우리의 자세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언컨택트』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세상의 관심은 ‘언컨택트’에 집중되었다. 언컨택트는 단순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아니다. 오랜 시간 우리 사회가 발전시켜온 욕망의 산물이자, 새로운 시대를 읽는 가장 중요한 진화 코드다.저자는 언컨택트 현상이 빠르게 일상화되고 있는 대전환적인 흐름의 원인과 배경에서부터 미래 전망까지 역사, 문학, 사회, 철학, 시사,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해박한 지식.. 2020. 9. 16.
2020년 5월 추천도서 팩트풀니스 : 우리가 세상을 오해하는 10가지 이유와 세상이 생각보다 괜찮은 이유 /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 지음 ; 이창신 옮김 [ 책 소개 ] 전 세계적으로 확증편향이 기승을 부리는 탈진실의 시대에, 막연한 두려움과 편견을 이기는 팩트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세계적 역작!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13가지 문제에서 인간의 평균 정답률은 16%, 침팬지는 33%. 우리는 왜 침팬지를 이기지 못하는가? 똑똑하고 현명한 사람일수록 세상의 참모습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 ‘느낌’을 ‘사실’로 인식하는 인간의 비합리적 본능 10가지를 밝히고, 우리의 착각과 달리 세상이 나날이 진보하고 있음을 명확한 데이터와 통계로 증명한 놀라운 통찰.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고 미래의 위기와 기회에 대처하.. 2020. 5. 25.
봉준호의 영화를 책으로 만나다 2020년 2월 10일(한국시간 기준),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이 으로 4관왕의 쾌거를 이뤘다.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영화인들이 환호했던 의 수상. 그는 한국 영화 역사에 길이 남을 족적을 남겼다. 이에 봉준호 감독의 영화를 책을로 만나보고자 한다. (한강, 가족, 그리고... )괴물 / 홍정훈 지음 [ 책 소개 ] "제 59회 칸 국제영화제" 감독 주간 부문에 초청되어 심사위원 전원의 기립박수를 받은 봉준호 감독의 신작 『괴물』 명성과 기대에 걸맞은 만듦새와 탁월한 오락성이 돋보이는 『괴물』은 한국 사회의 부조리와 한강, 그리고 평범한 소시민 가족이 핵심 줄기를 이룬다는 면에서 우리들 자신의 이야기이자, 우리들의 미래 이야기이다. 영화감독 봉준호의 영상언어와 작가 홍정훈의 소설.. 2020. 3. 18.
2019년 12월 추천도서 원더풀 사이언스 / 나탈리 앤지어 저 | 김소정 역 [ 책 소개 ]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 작가, 나탈리 앤지어가 들려주는 과학의 세계 퓰리처상 수상 작가, 나탈리 앤지어가 흥미진진하고 우아한 과학의 세계를 들려준다. 문학과 회화에서부터 유머와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인용과 비유를 예로 들어, 과학을 알기 쉽게 풀어낸다. 화학의 결합BOND을 설명할 때는 슬그머니 영국 스파이 제임스 본드BOND를 출연시키고, 물리학의 기본적인 네 가지 힘FORCE을 말할 때는 '스타워즈'의 제다이들이 구사하는 '포스FORCE’와 매치시킨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를 살짝 바꿔 확률 장의 부제인 '누구를 위한 종형 곡선인가FOR WHOM TH.. 2019. 12. 23.
2012/5월 추천도서 1. 당신은 행복한가 / 달라이 라마, 하워드 커틀러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이후 10년 ‘행복에 대한 교과서’로서 전 세계인에게 사랑받아 온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의 다음 이야기. 미국의 정신과 의사 하워드 커틀러는 처음으로 달라이 라마를 만났을 때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라고 물었다. 티베트의 영적 지도자는 망설임 없이 “물론입니다.”라고 대답했고, 그의 목소리에는 어떤 의심도 가질 수 없는 평화로움과 진실이 담겨 있었다. 이후 10년 만에 다시 나눈 행복에 대한 특별한 토론에서 달라이 라마는 ‘혼자 행복해도 되는가, 혼자서 행복할 수 있는가’ 하는 새로운 물음을 던진다. 내가 행복을 추구할 때 다른 사람의 행복은 어떻게 되는가. 개인의 행복과 사회 전체의 행복은 어떤 관계인가. 그러면서 그는 .. 2012. 5. 6.